사랑니 옆 어금니 충치 치료 - 고생을 덜 하려면 feat. 스플래시 데미지

이미지
  스플래시 데미지(splash damage)  - 무기를 맞힌 지점을 비롯해 그 주변까지 피해를 입는 것. 스플뎀이라고도 함.  치아에 생긴 충치에서도 스플래시 데미지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누운 사랑니에 생긴 충치는,  사랑니에 일반공격을 가하면서 옆에 어금니까지 스플래시 데미지를 입힌다.  이때 옆 어금니는 주로 치근을 공격받게 되는데,  치근은 교합면보다 기본방어력이 약하기 때문에,  일반공격을 받은 사랑니보다 스플래시 데미지를 입은 옆 어금니의 피해가 더 큰 경우가 많다.   ※ 기본 방어력 : 법랑질 >> 백악질 ; 그래서 뿌리에 충치가 생기면 빠르고 깊게 진행됨  이 포스팅은 이렇게 스플뎀을 입었던, 양쪽 어금니에 관한 이야기이다.  ------------------------------------------------------------------------------------------------------------------------ 작년 요맘 때쯤, 20대 남성분이 내원하셨다.  "아래쪽 어금니가 조금 깨진 것 같아요." 조신하게 체어에 눕혀드리고 얼마나 깨졌나 살펴보니, 헉!  그냥 깨진 게 아니라, 아래가 썩은 거 같은데..  모니터의 파노라마 사진을 보니,  A 위치에 뿌리까지 심하게 썩은 어금니가 보인다.  저기는 자연적으로 저렇게 충치가 생기기 어려운 위치와 형상이다.  이런 양상은 거의 백퍼, 인접한 사랑니로 인한 스플래시 데미지다.  환자분께 여쭤보니 역시나,  3개월 전에 사랑니만 뽑았다고 하신다.  (그때도 분명 충치가 있었을텐데 발치만 하셨다고 한다.) 엑스레이로 보기 전까지는 조금 깨진 걸로 착각하실 수도 있을 것 같다.  어차피 반대편 사랑니(B)도 곧 발치해야 할 것 같아서, 일찌감치 CT를 찍...

인접면 충치가 있다는데, 치과마다 진단이 달라요 feat. 무죄추정의 원칙

이미지
"열 사람의 범죄자를 놓치더라도, 한 명의 무고한 사람이 고통 받으면 안 된다." 현대법의 근간인 무죄추정의 원칙이다.  치과 검진에도 이 원칙이 적용될 수 있다.  (열 개의 충치를 놓치면 좀 그렇지만...) 한 개의 무고한 치아가 충치 치료를 받으면 안 된다.  치아는 한 번 삭제되면 재생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작년 여름, 20대 여성분께서 내원하셨다.  "왼쪽 위에 충치가 있는데, 어떤 치과에서는 치료해야 한다고 하고..   다른 치과에서는 없다고 하고..   또 다른 치과에서는 있기는 한데 치료까지는 필요없다고 하더라구요.  정확하게 알고 싶어서 왔어요." 충치 진단과 치료의 필요성은 조금 애매할 수 있다.  검진을 하는 치과의사들마다 진료철학이 조금씩 다를 수 있다보니 벌어지는 일이다.  이런 자초지종을 잘 말씀드리고, 차분하게 검진을 시작한다.  (이하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인의 개인적인 의견임을 미리 밝힌다.) 기본이 되는 파노라마 사진. 확실히 치아 사이에 충치로 의심되는 부분들이 있다.  그나마 치열이 겹쳐있는 부분은 파노라마에서 안 보인다.  그래도 의심 치아 주변에 충전물이나 보철물이 없다.  이럴 땐 CT가 매우 도움이 된다.  CT를 찍어, 인접면 충치를 찾아보기로 했다.  위쪽 - 상악 : 찾았다. 인접면 충치.  파노라마에서 의심된 #16은 충치가 아니었음 그리고 아래쪽 - 하악 : 음.. 이건 조금 의심이 된다.  파노라마에서 겹쳐보였던 #34도 용의선상에 오름 CT에서 충치 의심부위로 확인된 치아를 육안으로 보면서 마저 검진을 해보면,  1. #26 치아 : 상아질까지 진행된 충치 - 치료가 필요함 2. #34 치아 : 당장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음. 치실 사용하시면서 정기검진 때마다 경과 체크 치아 사이 잔사는 치실로 제거하니 깔끔해짐 3. #3...

양쪽으로 생긴 인접면 충치 - 레진 치료 feat. 감정형(F성향) 치료계획

이미지
치료 계획을 세울 때 고려해야 하는 1순위는 정확한 진단이다.  당연하다!  그럼,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환자분의 의견이 2순위가 아닐까 싶은데..  이건 내가 극 F 성향이라서 그런 것 같다.  내 몸도 아니고 다른 분의 몸을 치료하는데, 내 맘대로 할 수는 없고..  가능한 범위에서라면 환자분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는 게 맞는 것 같은데...  다른 분들은 또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으니,  그냥 이런 생각으로 진료를 하는 사람도 있구나.. 정도로 생각을 하면 좋겠다. 

어금니 뿌리염증 때문에 상악동에도 염증 생김 feat. 쇼생크 탈출

이미지
  뿌리 염증이 생기면, 뿌리 주변에 고름이 생긴다.  고름이 쌓이면 압력이 높아지고, 고름이 어딘가로 배출되지 못하면 통증이 시작된다.  고름이 어딘가로 배출되어야 압력이 해소가 될텐데..  외향적인(E 성향)의 치아는, 잇몸으로 고름을 배출하며 이상을 호소하기도 하지만 링크 :  잇몸에 생긴 뾰루지 내향적인(I 성향)의 치아는 묵묵히 고름을 만들며, 탈출구를 만든다.  그리고 치아에 이상이 있음을 발견했을 때는, 대개 큰일이 벌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  .............................................................................................................................................................................................. 약 2년 전, 젊은 여성분이 방문하셨다.  "지금 타원에서 신경치료를 받는 중인데,    기간도 오래 걸린다고 하고.. 치료가 안 될 수도 있다고 해서,     플라즈마 신경치료 상담받으러 왔어요." 아마도 심한 뿌리 염증으로, 예후가 좋지 않았음을 고지 받으신 것 같다.  이런 사연만 듣고는 뭐라 드릴 말씀이 없다.  일단 진단부터.  CT를 찍어보니, 허허.... 그런 말씀을 충분히 들을만하다.  쇼생크 탈출이 떠오르는 염증의 양상 #16 치아의 뿌리에 심한 염증이 생겨서 고름이 차면서 주변 치조골을 녹이다가,  상악동 바닥을 뚫어버렸다.  이렇게 심한 염증이 신경치료로 나을까...  플라즈마가 멸균 효율이 좋기는 하지만, 모든 케이스를 다 낫게 하는 건 아니다.  그래도 심한 뿌리염증의 치료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나름의 기준이 있다.  1. 치아의 흔들림이 없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