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25의 게시물 표시

쪼개진 치아 vs 금이 간 치아 faet. 뭐가 나을까 ep3 (완결)

이미지
3부작 시리즈의 마지막 편.  쪼개진 치아 vs 금이 간 치아 - 도대체 뭐가 나을까.  결론을 내려 한다.  첫번째 포스팅에서는, 치아가 쪼개졌지만 발치하지 않고 치료한 케이스 를,  두번째 포스팅에서는, 치아가 쪼개졌는데 발치해야만 했던 케이스 를 소개해드렸다.  이제 마지막 포스팅에서는,  치아에 금이 간 케이스를 소개하면서 나름의 결론을 짓고자 한다.  ................................................................................................................................................................................... [Case 1] 건장한 50대 남성분.  "씹을 때 뭔가 불편해요. 힘을 못 주겠어요." 전형적인 균열치아(crack tooth)의 증상이다.  앞선 포스팅에서처럼 치아가 깨져서 분리된 상황은 아니지만,  치아에 금(crack)이 가서 신경을 자극하기 때문에 생긴 증상이다.  tooth slot까지 갈 것도 없이, cotton roll만 물려봐도 아얏! 하신다.  통증을 호소하시는 치아를 보면 crack이 하도 많아서 잘 구별이 되지 않지만,  아무래도 화살표의 저 crack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 같다.  턱근육이 너무 강하셔서, 구강카메라도 간신히 찍음.. ㅜㅜ  CT를 보면 이미 뿌리끝 염증이 심한 상태.  균열치아(crack tooth) + 치수괴사로 확진되어, 신경치료부터 진행.  신경치료를 위해 삭제한 부위로, 선명한 crack line이 보인다.  저렇게 심하게 금이 갔는데, 이걸 무사히 쓸 수 있으실까?  치아가 더 이상 쪼개지지 못하도록 치아를 감싸주는 크라운을 셋팅.  치아가 너무 짧아서 크...

쪼개진 치아 vs 금이 간 치아 feat. 뭐가 나을까 ep2

이미지
이전 글에서( 쪼개진 치아 vs 금이 간 치아 feat. 뭐가 나을까 ep1 )에서,  쪼개진 치아였지만 발치하지 않고 잘 사용할 수 있는 케이스에 대해 포스팅했다면,  이번 글에서는  역시나 쪼개진 치아지만, 발치를 피하기 어려운 케이스에 대해 포스팅하고자 한다.  약 2년 전, 본원을 찾아오신 중년의 남성분.  "씹을 때 찌릿한 느낌이 나요, 신경이 눌리는 느낌이에요." 치아에 금이 가거나 파절됐을 때의 전형적인 증상이다.  구강내를 보니, 하... 치아가 쪼개져서 이미 벌어져있다.  깨진 조각은 차라리 달랑달랑 하는 게 낫다. 이전 포스팅 에서도 얘기했듯이,  쪼개진 치아의 치료계획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 저 파절조각의 크기다.  벌어진 조각이 달랑달랑하면서 매달려있으면 차라리 좋으련만..  단단히 버티고 있는 걸 보니, 아마도 저 깊은 곳까지 물고 깨졌나보다.  파절선 확인을 위해 CT를 찍어봤는데,  하필 바로 옆에 크라운이 있어서 말끔하게 확인이 되지는 않지만( CT의 단점 ) 그래도 어느 정도 예측은 된다.  사진을 보여드리며 설명드린다.  조각을 제거해봐야 확실히 알 수 있겠지만, 현재 치아가 깨져서 분리가 되었는데(splitted),  뿌리를 물고 깨진 상태로 보이며, 이건 수복이 매우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하며,  가능하더라도 오래 사용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씀드리니,  갑작스러운 발치 판정에 환자분도 당황해하시는 모습.  미련을 남기지 않기 위해  신경치료와 발치, 두 가지 계획을 세우고 치아 조각을 제거해보기로 했다.  무통 마취 후, 조각을 살살 달래보는데...  움직이는 조각이 잘 안 빠진다.  뿌리 깊숙한 곳까지 물고 깨져나갔다는 의미다.  그래도 혹시 몰라, 조심조심... 조각제거 성공.  하아... ct에서 봤던 그 파...

쪼개진 치아 vs 금이 간 치아 feat. 뭐가 나을까 ep1

이미지
돌도 씹어먹을 나이에는, 진짜로 돌을 씹어먹을 수 있을까?  단단함의 척도인 모스경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인간의 어금니는 6정도니까.. (높을수록 단단하다)  모스경도계 수치로 5정도인 인회석(apatite)까지는 씹어먹을 수 있는거 아닌가 하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인회석(apatite) - 씹어먹을 수 있을까? 당연히 못 씹어먹는다.  간단하게 얘기하면,  치아가 단단한 건 어디까지나 겉표면의 단단함 - 경도(hardness)이  높다는 뜻이라서,  인회석으로 치아를 긁어도 표면에 흠집이 생기지는 않겠지만,  인회석을 어금니로 깨물면 치아가 깨지거나 쪼개진다.  치아가 외력에 대해 변형없이 버티려는 힘 - 강도(strength) 는 그리 세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돌뼈나 누룽지 등을 씹다가 아얏! 해서 치과에 오시는 분들은,  대개 치아에 금이 가거나 부러져서 오신다.  그래도 뼈는 금이 가고 부러지면 다시 붙기라도 하지,  치아는 한 번 금이가고 부러지면 다시 붙지도 않고 재생도 안된다.  (오돌뼈, 누룽지 조심하십시오~ ) ........................................................................................................................................................................................ 8개월 쯤 전, 남편분의 소개로 오신 환자분.  "이가 반으로 갈라져서 흔들려요.   동네 치과에 갔는데 뽑고 임플란트를 해야한대요."  남편분께서는 우리 치과에 오면 다른 수가 있지 않겠냐고 소개해주셨다는데,  이런 말씀을 들으면 솔직히 적잖은 부담이 되기는 한다. 일단 환자분께서 가리키는 치아를 살펴보니,  ...

크라운에서 냄새가 나요 feat. 슈뢰딩거의 어금니 ep.1

이미지
크라운은 자연치아를 살릴 수 있는 마지막 치료다.  크라운이 불가능하다면, 발치를 고려해야 한다.  그래도 다행인 건, 크라운에 탈이 나도 재도전의 기회가 있다는 점이고,  불행인 건, 언제 재도전을 할 지 알기 어렵다는 점이다. 

앞니 잇몸 누르면 아파요 - 플라즈마 신경치료 feat. 내향적인(I성향) 치아

이미지
  치아도 사람처럼 성격이 있는 것 같다.  치아의 뿌리 안쪽에 문제가 생겼을 때,  외향적인 치아들은 격렬하게 고름주머니를 만들어서 나 좀 봐달라고 소리치지만,  링크 : 잇몸에 뾰루지가 생겨서 다행입니다. feat. 뿌리염증 골든타임 내향적인 소심한 치아들은 제대로 표현을 못하고 시름시름 병을 키워나가다가,  수습이 어려운 지경에 와서야 비로소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링크 : 하나도 안 아픈데 치료를 받아야 하나 feat. 뿌리염증 신경치료 그러다보니, 보통 소심한 치아들의 예후가 더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사랑니 발치 후 드라이 소켓 발생 후기 feat. 3주간의 사진

이미지
  치과 치료와 관련해서 경험할 수 있는 최고의 통증은 무엇일까.  급성 치수염으로 인한 치통, 신경치료 후 찾아온 flare up 등등... 많은 후보들이 있다.  비록 나는 환자들을 통해 간접경험밖에는 못 해봤지만,  내가 앞으로 직접경험이든 간접경험이든 다시 만나고 싶지 않은 최악의 통증은,  사랑니 발치 후 찾아오는 드라이 소켓 or 건성 발치와다.  약 1년 전,  20대 후반의 여성분께서 내원하셨다.  "작년부터 왼쪽 아래 사랑니가 올라오면서 가끔씩만 아픈데, 한 번 봐주세요."  옆으로 머리를 삐죽 내민 사랑니, 제대로된 칫솔질이 어려워서 벌써 썩어있다.  파노라마를 보니, 사랑니 뿌리가 신경관에 아예 붙어있어서  CT도 찍어보았다.  뿌리의 옆쪽으로 신경관이 붙어있는데,  보라색 표시선이 신경관 또 다른 변수는, 사랑니 치관의 일부가 뼈에 묻혀있다는 것.  저게 딱 걸려있으면, 저 부분을 조금 잘라내서 빼야한다.  저건 놔두면 언젠가는 빼야하는 사랑니인데,  이런저런 어려움이 예상되며 신경손상의 위험성이 있다는 말씀을 드린다.  그래도 어차피 빼야한다면 빼고 싶다며 발치 약속을 잡고 가셨다.  드디어 D-day.  마취부터 신경써서 확실하게 하고, 힘을 주니 뒷통수가 걸려서 잘 안 나온다.  뒷통수만 살짝 날려버리고 힘을 주니 쏙 빠져나온다.  이 정도면 신경에 자극은 거의 없었을 것 같다.  사랑니...였던 것 + 살짝 잘라낸 뒷통수 지혈 잘 되시라고 지혈제를 하나 넣고, 잘 꿰매드린 뒤 마무리.  그리고 다음 날 소독하러 내원.  걱정했던 신경손상도 없이 마취도 잘 풀리셨단다. (휴~ 다행~) 통증은 살짝 있지만 참을만하시다고.  그래도 주의사항을 잘 지켜주셔야 한다는 당부 말씀 드리며, 통상적인 드레싱 시행 후, 실 뽑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