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개진 치아 vs 금이 간 치아 faet. 뭐가 나을까 ep3 (완결)
3부작 시리즈의 마지막 편. 쪼개진 치아 vs 금이 간 치아 - 도대체 뭐가 나을까. 결론을 내려 한다. 첫번째 포스팅에서는, 치아가 쪼개졌지만 발치하지 않고 치료한 케이스 를, 두번째 포스팅에서는, 치아가 쪼개졌는데 발치해야만 했던 케이스 를 소개해드렸다. 이제 마지막 포스팅에서는, 치아에 금이 간 케이스를 소개하면서 나름의 결론을 짓고자 한다. ................................................................................................................................................................................... [Case 1] 건장한 50대 남성분. "씹을 때 뭔가 불편해요. 힘을 못 주겠어요." 전형적인 균열치아(crack tooth)의 증상이다. 앞선 포스팅에서처럼 치아가 깨져서 분리된 상황은 아니지만, 치아에 금(crack)이 가서 신경을 자극하기 때문에 생긴 증상이다. tooth slot까지 갈 것도 없이, cotton roll만 물려봐도 아얏! 하신다. 통증을 호소하시는 치아를 보면 crack이 하도 많아서 잘 구별이 되지 않지만, 아무래도 화살표의 저 crack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 같다. 턱근육이 너무 강하셔서, 구강카메라도 간신히 찍음.. ㅜㅜ CT를 보면 이미 뿌리끝 염증이 심한 상태. 균열치아(crack tooth) + 치수괴사로 확진되어, 신경치료부터 진행. 신경치료를 위해 삭제한 부위로, 선명한 crack line이 보인다. 저렇게 심하게 금이 갔는데, 이걸 무사히 쓸 수 있으실까? 치아가 더 이상 쪼개지지 못하도록 치아를 감싸주는 크라운을 셋팅. 치아가 너무 짧아서 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