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니 발치 후 드라이 소켓 발생 후기 feat. 3주간의 사진
치과 치료와 관련해서 경험할 수 있는 최고의 통증은 무엇일까.
급성 치수염으로 인한 치통, 신경치료 후 찾아온 flare up 등등... 많은 후보들이 있다.
비록 나는 환자들을 통해 간접경험밖에는 못 해봤지만,
내가 앞으로 직접경험이든 간접경험이든 다시 만나고 싶지 않은 최악의 통증은,
사랑니 발치 후 찾아오는 드라이 소켓 or 건성 발치와다.
약 1년 전,
20대 후반의 여성분께서 내원하셨다.
"작년부터 왼쪽 아래 사랑니가 올라오면서 가끔씩만 아픈데, 한 번 봐주세요."
옆으로 머리를 삐죽 내민 사랑니, 제대로된 칫솔질이 어려워서 벌써 썩어있다.
파노라마를 보니, 사랑니 뿌리가 신경관에 아예 붙어있어서
CT도 찍어보았다.
뿌리의 옆쪽으로 신경관이 붙어있는데,
보라색 표시선이 신경관 |
또 다른 변수는, 사랑니 치관의 일부가 뼈에 묻혀있다는 것.
저게 딱 걸려있으면, 저 부분을 조금 잘라내서 빼야한다.
저건 놔두면 언젠가는 빼야하는 사랑니인데,
이런저런 어려움이 예상되며 신경손상의 위험성이 있다는 말씀을 드린다.
그래도 어차피 빼야한다면 빼고 싶다며 발치 약속을 잡고 가셨다.
드디어 D-day.
마취부터 신경써서 확실하게 하고, 힘을 주니 뒷통수가 걸려서 잘 안 나온다.
뒷통수만 살짝 날려버리고 힘을 주니 쏙 빠져나온다.
이 정도면 신경에 자극은 거의 없었을 것 같다.
사랑니...였던 것 + 살짝 잘라낸 뒷통수 |
지혈 잘 되시라고 지혈제를 하나 넣고, 잘 꿰매드린 뒤 마무리.
그리고 다음 날 소독하러 내원.
걱정했던 신경손상도 없이 마취도 잘 풀리셨단다. (휴~ 다행~)
통증은 살짝 있지만 참을만하시다고.
그래도 주의사항을 잘 지켜주셔야 한다는 당부 말씀 드리며, 통상적인 드레싱 시행 후, 실 뽑는 약속을 잡아드렸다.
여기까지는 평소대로 순탄하게 잘 진행되었다.
여기까지는.
3일 뒤 연락이 왔다.
(이제부터는 현장감을 높이기 위해 따옴표 안에 환자분의 표현을 사용하겠다.)
발치 후 4일 째
- "소독받을때까지만 해도 안 부었는데, 그날 저녁부터 붓기 시작하더니, 타이레놀을 먹어도 똑같아요. 밤에 자다가도 아파서 깰 정도에요. 죽도 못 씹을 정도로 아파요. 두유만 먹고 있어요."
- 처치 : 드라이 소켓 소견. 발치 부위를 깨끗이 소독하고, 추가 처방 시행.
발치 후 7일 째
- "3일동안은 진통제를 먹어도 아팠는데, 이제는 약을 먹으면 5시간 정도 괜찮아져요. 근데 저녁에 자는 시간에는 약기운이 떨어져서 새벽 3~4시쯤 통증 때문에 깨요. 그래서 타이레놀 먹고 자면 또 괜찮아지고, 또 5시간 지나면 통증이 생겨요. 지금까지 두유만 먹었는데 부드러운 음식 먹어도 괜찮을까요? "
저 안에 하얀 색은 노출된 치조골이다. 말 그대로 뼈가 그냥 외부에 드러나 있는 상황. |
- 처치 : black silk는 음식물 등이 붙어서 오염의 원천이 될 수 있어서 s/o 시행. 내부에 하얀 부위를 탐침으로 건드리면 단단한 치조골이 확인됨. 유지놀 거즈 패킹을 고려하였으나, 사랑니 치근이 하치조신경관과 너무 근접해있던 상황이라, chemical burn의 위험성이 있어서 유보하였음. 다시 꿰매는 것도 고려하였으나, 환자분께서 마취를 원치 않으셔서 소독만 시행하고, 음식물이 고여있지 않도록 집에서 잘 헹구시길 권유드림. 식사를 하셔야 치유에 도움이 되시므로, 부드러운 음식이라도 드시길 권유드림.
발치 후 10일 째
- "비슷해요."
저 안에 하얗게 노출된 치조골이 보인다. 노출 부위가 약간은 줄어들었다. |
- 처치 : 발치와 부위의 치은이 약간 회복되었으나, 발치와 내부의 치조골 노출 부위는 그대로임. 드레싱 시행. 추가 처방 시행.
발치 후 13일 째
- "낮에는 약을 먹으면 완화가 되는데 밤에는 약을 먹어도 완화가 안 되고 통증이 있어요, 온찜질을 하면 조금 나아요."
발치와 입구가 조금 줄어들었다. 치조골에 가해지는 자극도 적을 듯 |
- 처치 : 발치와 부위 치은 회복 확인. 발치와 내부의 치조골 노출 부위 탐침 결과, 연조직으로 덮이는 중으로 보임. 드레싱 시행. 추가 처방.
발치 후 18일 째
- "통증이 반으로 줄었어요"
이제는 치조골이 보이지 않는다. |
- 처치 : 발치와 내부와 외부에서 연조직의 회복 관찰됨. 노출된 치조골도 완전히 연조직으로 덮임. 드레싱 한 번 더 시행. 추가 처방.
발치 후 21일 째
- "많이 좋아졌어요"
- 처치 : 정상적인 발치와 소견. 마지막 드레싱 시행하고, 3일 처방 시행.
발치 후 26일 쩨
- 내원은 하지 않고, 해피콜만 시행
- "그때 주신 약 먹고나서는, 약 안 먹어도 안 아픕니다."
드라이 소켓은 발치 후 3일 정도부터 시작되어 2~3주 정도 지속된다고 하는데,
정말 딱 그렇게 지속되었다.
아무튼 이렇게 3주가 넘은 기간을 거쳐, 우리는 가까스로 드라이 소켓에서 해방되었다.
차트에는 적혀 있지 않지만, 환자분의 표현을 빌자면
통증이 심할 때는 자다가 너무 아파서 엉엉 울었다고 하신다.
그 말을 들으면서 참 송구스럽고 마음이 너무 아팠다...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치 이후 거즈를 제대로 물지 않거나, 빨대 사용 등으로 혈병이 탈락. (피떡이 안 생김)
2. 세균성 감염으로 치유 지연
3. 수술부위 심한 골삭제로 치조골 손상
4. 흡연 (제일 흔하지만, 의외로 또 멀쩡하신 분들도 많으심)
5. 경구 피임약 복용 (여성분들 주의)
6. etc : 방사선 치료 환자, 관련 전신질환 (파제트 병 등)
그리고 원인이 이렇게 많다는 것은, 원인이 애매하다는 의미도 된다.
이 케이스에서는 어떤 경우에 해당하는지 결국 알지 못했다.
D+1 사진을 보면 혈병이 탈락할 만한 상황은 아니었던 것 같고.. 환자분께서도 거즈 잘 물기, 빨대 사용 금지 등의 주의사항은 잘 지켰다고 말씀하셨으니 아닌 것 같고..
약을 잘 챙겨드셨고, 구강내 위생도 양호하셨으니 감염이 되지는 않았을 거고..
치조골 삭제는 아예 하지 않았으니, 상관 없고..
흡연이나 경구피임약 복용은 실례가 될 것 같아서 여쭤보지 못했다. (그 이후로는 사랑니 발치 전에 꼭 여쭤본다.)
그래도 이런 괴랄한 합병증의 가능성을 조금이라도 낮추기 위해서는,
발치 전 경구 피임약 체크, 발치 후 금연 등은 충분히 고려하는 것이 좋다.
참고로, 드라이 소켓이 생겨버려서 너무 아파한다면,
예전에는 발치와를 다시 긁어내고 피가 나도록 만들어줘서 혈병(피떡)이 다시 생기게 해주기도 했다.
하지만 요새는 재감염의 위험이 있어서 특별한 이유가 있지 않으면 그렇게 하지 않는다.
다른 방법으로는, 유지놀 성분을 거즈에 적셔서 발치와 부위에 넣어주는 방법도 있는데,
이 분처럼 하치조신경이 치근에 닿아있던 경우에는
발치와 부위에 넣은 유지놀 성분이 하치조신경에 간접적으로라도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매우 조심해야 한다.
통증을 줄이려다 신경에 손상이 올 수도 있다.
지금까지 1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적어도 사랑니를 몇 백 개는 뽑았을텐데
내가 발치한 환자에게 이렇게 직통으로 드라이 소켓이 온 적은 처음이다보니,
무척 가슴 아픈 기억으로 남은 케이스였다.
이렇게 발생하는 합병증은,
술자나 환자가 특별히 무슨 잘못을 해서 그런 것이 아닌 경우가 대부분이다.
줄담배를 피우면서 구강 위생이 엉망인데도..
심지어 발치 후 꿰매지도 않았는데, 아무탈 없이 잘 치유되는 경우도 많다.
이런 경우도 특별히 누가 잘 해서 그런 게 아니다.
통계상으로 누구에게나 벌어질 수 있는 일이다.
다만, 우리는 그저 그 확률이 우리에게 조금이라도 유리하게 작용하도록,
술자는 술식에서 최선을 다하고,
환자는 최대한 주의사항을 잘 지키는 수 밖에 없다.
그리고 나한테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간절히 기도하는 수밖에 없다.
아직 내게 남은 2개의 매복 사랑니가 탈이 나지 않도록 간절히 기도해야겠다.
------------------------------------------------------------------------------------------
본 포스팅은 의료법 제56조 1항의 의료법을 준수하여 치과의사가 직접 작성하였습니다.
실제 내원 환자분의 동의하에 공개된 사진이며,
동일한 환자분께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한 사진을 활용하였습니다.
치료 내용 : 사랑니 발치, dressing
치료기간 : 2024.03.29 ~ 2024.04.26
개인에 따라 진료 및 치료방법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효과와 부작용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점을 안내드리고 동의하에 치료 진행합니다.
진료 전 전문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을 권해드립니다.
------------------------------------------------------------------------------------------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아래 링크로 문의 주세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