씹을 때 아파요 - 치근파절 feat. 진단의 어려움


연세가 지긋하신 중년의 구환 남성분이 내원하셨다. 

 "씹을 때 아래쪽 사랑니가 아파요. 가능하면 더 쓰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 


씹을 때 통증은 진단이 참 어려운 증상 중에 하나다. 

충치, 파절, 치주염, 크랙(crack) ... 온갖 원인들이 다 얽혀있기 때문이다. 

내과에 가서, 배가 아파요.. 내지는 머리가 아파요..라고 하면, 내과 선생님도 이런 느낌이시지 않을까.



아무튼 이럴 땐 범위를 조금씩 좁혀가면서 진단을 해야 한다. 



환자분께서 가리키는 치아는 맨 뒤 사랑니다. 

체어에서 부드러운 코튼롤(cotton roll)을 물어보시라고 했더니, 아얏! 하신다. 

일단, 확실히 그 치아가 맞다는 것은 확인을 했다. 


맨 뒤에 패여있는 부분으로 감염이 돼서 치수염이 왔을까.. 


뒤쪽은 잇몸속에 깊게 파묻혀 있어서, 쉽게 감염이 되지 않을 것 같기는 한데... 


혹시 모르니, 이 부분만 확대해서 엑스레이를 하나 더 찍어본다. 

음.. 확실히 그 쪽으로 심한 결손이 확인되기는 하는데... 앗! 



앞에 뿌리 쪽에 뭔가가 보인다. 

보이는가? 노란색 점섬으로 표시된 파절선... 







뿌리에 금이 간 것 같은 느낌... 

물론 이것만 보고 100% 치근파절로 확신할 수는 없다. 

치조골의 골소주 모양이 우연히 저런 양상으로 나타났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게다가 치근파절은 걍 발치기 때문에, 이보다 더 확실한 증거가 필요하다. 


CT가 필요하다. 

마침 사랑니가 있으시기 때문에, 의료보험 적용을 해서 겸사겸사 CT를 찍어봤더니, 

잡았다, 요놈! 



의심이 갔던 앞쪽 뿌리가 걍 둘로 쪼개져서 분리되어 있다. 

휴~ 다행히 원인을 금방 찾았다. 

그것도 명쾌하게. 


이제 환자분께 자초지종을 설명드리며, 조심스레 발치를 권한다. 


치아의 뿌리가 그냥 둘로 쪼개졌습니다. 

아쉽게도 이쯤되면 더 사용하기 어려우실 것 같습니다. 

뿌리가 쪼개진 치아가 다행히도 사랑니이고, 그 앞의 치아들은 아직 양호하시니.. 

발치를 하시더라도 식사하시는 데에 아주 큰 지장을 주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환자분께서도 사진을 보시고는 발치에 동의하셔서, 

오랜기간 고생했던 사랑니는 이제 그 생을 마감했다. 


오른쪽의 조각이 부러져서 분리된 치근 조각이다

이미 뿌리가 분리되어 있던 치아라, 따로따로 나왔다. 


아래쪽 사랑니는, 발치 부위에 음식이 낄 수 있으니 웬만하면 잘 꿰매드려야 한다. 



그래야 1주일 뒤에 이렇게 잘 치유된다. 



이렇게 해서 씹을 때 불편하던 증상의 치료가 마무리 되었다.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아주 순탄하게 진행되었다. 

진단이 잘 되었기 때문이다. 


어딘가 불편해서 치과를 찾아 오셨을 때, 

불편감의 원인이 무엇인지부터 찾는 진단이 먼저 되어야 한다. 

그런데 가끔씩은 진단에서부터 막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도대체 원인이 무엇인지 알 수가 없다. 

구강내의 불편감은 

충치, 파절, 금(crack), 치주염, 상악동염, 신경성질환, 연조직질환 등등.. 너무나 많은 요소들이 관여를 하기 때문이다. 


어느 치아가 불편한지 구별이 어려울 때도 있고, 

심지어 치아가 원인이 아닐 가능성도 있다. (비정형치통)

진단이 잘못되면 치료가 잘못될 수 있으며, 잘못하면 엉뚱한 치아를 잡을 수도 있다. 

그래서 진단이 되지 않으면 치료를 할 수가 없다. 

진단은 진료의 알파요 오메가다. 


한 마디만 더 첨가하자면, 

이 케이스의 환자분께서 만약에 일찍 치과에 내원하셔서, 

뿌리가 완전히 분리되기 전에 진단을 받으셨다면.. 

그래서 CT에서도 파절선이 확인되지 않으셨다면.. 

치근파절 진단이 수월하지 않았을 것이고, 

발치를 결정하기 보다는 보존적인 치료로 얼마간 더 지내보시다가, 

치근파절이 확실해졌을 때 발치를 했을 것 같다. 

아무래도 발치는 쉬운 결정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래서 진단이 참 어렵다. 



-----------------------------------------------------------------------------------------------------

본 포스팅은 의료법 제56조 1항의 의료법을 준수하여 치과의사가 직접 작성하였습니다.

실제 내원 환자분의 동의하에 공개된 사진이며,

동일한 환자분께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한 사진을 활용하였습니다.

치료 내용 : 레진치료

치료 후 생길 수 있는 부작용 : 레진파절, 신경치료, 치아파절

치료기간 : 2024.12.09, 2024.12.16 (각각 당일 치료 완료)

개인에 따라 진료 및 치료방법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효과와 부작용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점을 안내드리고 동의하에 치료 진행합니다.

진료 전 전문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을 권해드립니다.

-----------------------------------------------------------------------------------------------------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아래로 문의주세요~ 

카카오톡 플친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치아사이 충치 - 인접면 우식, 어떻게 치료할까 feat. 신경치료는 싫어요

신경치료 안 하면 안될까요? feat. 치과의사도 신경치료 안하고 싶습니다

인레이 치아 깨짐 + 충치 = 어떻게 치료할까 feat. 인레이 다 뜯어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