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금니 뿌리염증 때문에 상악동에도 염증 생김 feat. 쇼생크 탈출



 

뿌리 염증이 생기면, 뿌리 주변에 고름이 생긴다. 

고름이 쌓이면 압력이 높아지고, 고름이 어딘가로 배출되지 못하면 통증이 시작된다. 

고름이 어딘가로 배출되어야 압력이 해소가 될텐데.. 


외향적인(E 성향)의 치아는, 잇몸으로 고름을 배출하며 이상을 호소하기도 하지만

링크 : 잇몸에 생긴 뾰루지


내향적인(I 성향)의 치아는 묵묵히 고름을 만들며, 탈출구를 만든다. 


그리고 치아에 이상이 있음을 발견했을 때는, 대개 큰일이 벌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 


..............................................................................................................................................................................................


약 2년 전, 젊은 여성분이 방문하셨다. 

"지금 타원에서 신경치료를 받는 중인데,  

 기간도 오래 걸린다고 하고.. 치료가 안 될 수도 있다고 해서, 
 
 플라즈마 신경치료 상담받으러 왔어요."


아마도 심한 뿌리 염증으로, 예후가 좋지 않았음을 고지 받으신 것 같다. 

이런 사연만 듣고는 뭐라 드릴 말씀이 없다. 

일단 진단부터. 


CT를 찍어보니, 허허....

그런 말씀을 충분히 들을만하다. 


쇼생크 탈출이 떠오르는 염증의 양상


#16 치아의 뿌리에 심한 염증이 생겨서 고름이 차면서 주변 치조골을 녹이다가, 

상악동 바닥을 뚫어버렸다. 


이렇게 심한 염증이 신경치료로 나을까... 

플라즈마가 멸균 효율이 좋기는 하지만, 모든 케이스를 다 낫게 하는 건 아니다. 

그래도 심한 뿌리염증의 치료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나름의 기준이 있다. 


1. 치아의 흔들림이 없어야 함

2. 치주질환이 동반되지 않아야 함

3. 치근의 천공 혹은 파절이 관찰되지 않아야 함 


재신경치료를 많이 하다보니, 

위의 기준을 만족하면 염증의 크기가 크더라도 어느 정도 치유를 기대해 볼 수 있는 것 같다. 


다행히 해당치아는 그래도 치료를 진행할 수 있을 것 같아, 

조심스럽게 자초지종을 설명드렸다. 

플라즈마라 하더라도 최소 2회의 신경치료는 받으셔야 하고, 

pmma 임시레진 크라운으로 3개월 이상의 경과체크 기간을 거쳐서, 발치 여부를 결정하기로.



치료 계획이 확정되었으니, 이제 치료에 최선을 다해야지. 

무통 마취 후, 신경치료를 이어서 진행. 

신경쓰인다. 저 멍든 것 같은 레진코어...


타원에서 했던 신경치료를 이어서 하는 일은 솔직히 조금 부담이 된다. 

신경관에 접근하는 방식이 의사별로 다르다보니, 

내가 처음 시작한 치료에 비하면, 조금 어색한 부분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다행히 2회만에 신경치료는 마무리 할 수 있었다.  


이제 오염된 외관을 깔끔하게 수복할 차례. 

처음부터 눈에 거슬렸던 저 레진코어 부위를 제거하니, 

아래로 잇몸 하방까지 심한 결손이 보인다. 

저게 뿌염의 원인인 것도 같고... 

나머지 손상부위도 정리하다보니, 



인접한 치아의 맞닿은 면에도 충치가 발견된다. 

치석인 것 같지만, scaler로 제거가 안 되더라


이때 치료하면 말그대로 최소삭제 인접면 레진치료가 가능하므로, 

충치를 제거하고 (생각보다 넓다)

은근히 깊다. 

너무 깊은 부위는 MTA를 깔아주고 레진으로 마무리. 

내부에 MTA가 비쳐보이지만, 괜찮다. 힘을 받는 곳이 아니라서. 


이제 원래의 신경치료했던 치관을 깔끔하게 수복하고, 

pmma 크라운 셋팅 상태로 경과를 지켜보기로 했다. 

(오래전 케이스라 pmma 사진이 없다)





약 2개월 후, 경과 체크를 위해 내원하셨다. 

"처음에는 괜찮았는데, 얼마 전부터 치실할 때 주변으로 아파요." 


솔직히 이런 말을 들으면 긴장된다. 

가뜩이나 심한 염증이었는데, 탈이 난 건 아닐까. 


그래도 침착하게 CT를 찍어서 경과를 봤다. 와우~ 


염증이 2달만에 상당히 줄어들었다! 

그런데 왜 아프셨을까... 

잇몸이 원인일 수 있으니 주변으로 잇몸 청소를 깊숙하게 하고, 처방을 해드렸다. 

그리고 3일 뒤. 

"불편한 느낌이 아직 남긴 했는데, 전보다는 많이 좋아졌어요.

 이제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마무리 짓고 싶어요." 

경과 체크 3개월이 아직 안 됐지만,

치유 양상이 확인되다보니 치료를 일단락 짓고 싶으시다고 하신다. 


다행히 발치 걱정은 안 하셔도 되니, 지르코니아 크라운 제작 후 셋팅. 



이렇게 해서, 치료가 일단락 되었다. 


그래도 워낙 심한 염증이다보니 꾸준한 정기검진을 말씀드렸는데, 

약 8개월 뒤에 다시 내원하셨다. 


치료 받은 부위는 괜찮고 이번에는 아래쪽에 시린 느낌이 있으시다는데.. 

지난번에 워낙 큰일을 겪고 나서, 

이제는 조금만 불편해도 치과에 오시기로 맘먹으셨다고 한다.  

- 이 케이스도 소개해드리고 싶어서, 간단하게 정리했음. 

링크 : 양쪽으로 생긴 인접면 충치 - 레진치료 feat. 감정형(F성향) 치료계획

https://www.dentalist.me/2025/04/feat-f.html



그래도 오신 김에, 

CT를 찍어 지난번 치료받은 치아의 뿌염이 재발하지 않았는지 체크. 


10개월 경과는 놀라웠다. 

고름 탈출 통로가 흔적도 없이 막혀버렸다.


고름의 압력으로 뚫렸던 상악동 바닥의 구멍이 깔끔하게 치유되었다. 

이 정도면 이제 발치 걱정은 안 하셔도 될 것 같지만,  

그래도 꾸준히 정기검진은 받으셔야 한다고 당부의 말씀을 드리면서 

치료를 마무리 지었다. 


뿌리염증은 고름을 만들고 주변의 치조골을 녹인다. 

특히, 이 케이스처럼 위쪽 어금니의 뿌리는 

상악동이라는 해부학적 구조물의 바닥과 가깝기 때문에 상악동에도 영향을 미친다. 

치아에 생긴 염증 때문에 상악동염(혹은 부비동염)이 생기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위쪽 어금니의 뿌리염증이 너무너무 심하게 진행되면

신경치료보다 발치가 더 위험한 치료가 되기도 한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런 케이스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 링크 : 아직 작성 안함


------------------------------------------------------------------------------------------

본 포스팅은 의료법 제56조 1항의 의료법을 준수하여 치과의사가 직접 작성하였습니다.

실제 내원 환자분의 동의하에 공개된 사진이며,

동일한 환자분께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한 사진을 활용하였습니다.

치료 내용 : 재신경치료, 크라운

치료 후 생길 수 있는 부작용 : 재신경치료, 발치

치료기간 : 2023.05.13~ 2023.07.22 

pmma 경과체크 기간 : 약 2개월

경과체크일 : 2024.03.28

개인에 따라 진료 및 치료방법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효과와 부작용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점을 안내드리고 동의하에 치료 진행합니다.

진료 전 전문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을 권해드립니다.

------------------------------------------------------------------------------------------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아래 링크로 문의해주세요~ 

카카오톡 플친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치아사이 충치 - 인접면 우식, 어떻게 치료할까 feat. 신경치료는 싫어요

신경치료 안 하면 안될까요? feat. 치과의사도 신경치료 안하고 싶습니다

인레이 치아 깨짐 + 충치 = 어떻게 치료할까 feat. 인레이 다 뜯어야 하나